전 세계적으로 우주산업이 민간 주도로 바뀌면서 또 하나의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는데요, 바로 소형발사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주인터넷과 초고속 통신망 구축 등을 위해 소형위성 발사가 늘어나면서 이를 쏘아 올릴 소형발사체가 과학 기술의 상징에 그치지 않고, 새로운 비즈니스로 자리 잡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의 우주 스타트업 로켓랩이 개발한 우주발사체 '일렉트론'이 우주로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일렉트론은 길이 17m, 무게 10.5톤의 2단 소형 발사체로, 150㎏까지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기존 3만 개의 발사체 부품을 1천 개로 줄이고, 엔진 등 주요 부품을 3D 프린터와 탄소섬유로 만들어 제작 비용을 대폭 줄였습니다. <br /> <br />[피터 벡 / 로켓랩 CEO : 상업 발사를 시작한 이래로 올해 9번의 발사는 100% 성공했으며, 달에 위성을 보내는 데도 성공했습니다. 또한, 일렉트론 로켓이 커짐으로써 탑재 능력을 상당히 많은 수로 입증했습니다.] <br /> <br />우주인터넷과 초고속 통신 등을 위한 소형위성 발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21년 발사된 위성의 94%인 1,743기가 소형 위성입니다. <br /> <br />2021년부터 2030년까지 발사될 소형 위성은 약 1만4천 기로, 이전 10년 대비 5배 가까이로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소형위성 발사 수요는 늘고 있지만, 전 세계 발사 업체가 10곳 정도뿐이어서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대형 발사체를 사용해 한 번에 수십 개의 위성을 싣고 갈 수 있지만, 발사 여건이 충족되기까지 1~2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소형발사체는 원하는 장소와 시기에 비교적 손쉽게 위성 발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형진 /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: 요즘에 소형 발사체 같은 경우에는 일종의 택시라고 저희가 비교를 해볼 수 있어요. 상대적으로 쉽게 만들어서 제작해서 원하는 시점에 순식간에 올릴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우리나라도 소형발사체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우주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하이브리드 엔진을 적용한 소형발사체를 독자 개발해 시험 발사를 앞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국내 우주 스타트업인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도 재사용이 가능한 액체엔진이 적용된 2단 발사체 '블루웨일1'을 개발 중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122507252178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